[네트워크 관리사 2급] 11. DNS 서버

DNS 서버

윈도우 서버에서는 DDNS(Dynamic Domain Name Service)라는 DNS 서버를 관리할 수 있으며 DHCP 서버와 연동해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윈도우 DNS 서버 기능

  • PC에서 DNS Request로 도메인을 전송하면 DNS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얻은 후 PC에 DNS Response로 IP 주소를 전송함
  • IP 주소를 DNS 서버에 전송하면 해당하는 도메인 주소를 전송함
  • DNS는 TCP,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53번 포트를 사용

DNS Cache : 자주 참조하는 도메인명과 IP 주소를 메모리에 유지하고 동일한 요청이 오면 메모리에서 조회 후 PC에 응답하는데 이걸 DNS Cache라고 함, PC에도 존재하고 서버에도 존재함

DNS 서버는 주 서버보조 서버로 나뉘는데, 주 영역 DNS 서버 장애 시 보조 DNS 서버가 서비스를 계속하는 시스템이다. 이 때 ‘영역’ 이라는 말은 DNS에서 도메인 주소를 관리하는 기본 관리 단위이고, 영역을 전송하는 것을 ‘Zone transfer’라고 한다.

DNS 영역

정방향 영역(Public Domain Zone)

정방향 영역은 DNS 서버에서 도메인 주소를 전송하면 IP 주소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역방향 영역(Inverse Domain Zone)

역방향 영역은 PC에서 IP 주소를 전송하면 DNS 서버가 도메인 주소를 응답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PTR 레코드를 사용한다.

레코드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

도메인 영역의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본 레코드이다.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동기화 정보, 시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영역 생성 시에 자동으로 생성되는 레코드이다.

가지고 있는 속성은 다음과 같다.

  1. 일련번호 : 영역 파일의 개정 번호
  2. 주 서버 : 주 DNS 서버의 도메인 주소
  3. 책임자 : 책임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이메일 형식이 아닌 도메인 형식으로 되어있음
  4. 새로 고침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 간격
  5. 다시 시도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 장애 시 재 시도하는 간격
  6. 다음 날짜 이후 만료 : 설정 기간 초과해 통신 두절 시 동작 정지 정보
  7. 최소(기본값) TTL : 레코드의 캐시 시간 지정
  8. 이 레코드 TTL : SOA 레코드의 TTL을 지정함

CNAME 레코드

  1. 같은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여러 개의 호스트가 있을 때 사용한다.
  2. A 레코드와 비슷하지만 별명(Alias)를 입력하고 A 레코드보다 속도가 빠르다
  3. 호스트 이름을 등록해 관리한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