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사 2급] 16. 네트워크 회선 운영

네트워크 회선 운영

리피터(Repeater)

리피터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장거리 전송을 위해 신호를 증폭시킨다. 별도의 리피터 장치를 구성할 수는 있지만 보통 허브에 리피터 기능이 달려있어서 허브를 사용해 리피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허브(Hub)

여러 개의 시스템을 연결할 경우 각 포트 별로 케이블을 연결 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물리 계층의 장비이다.

허브는 보통 분배 장치의 역할을 수행해 여러 개의 포트로 신호를 입력 받고 다시 여러 개의 포트로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지만 허브 장치 특성 상 데이터 링크 및 네트워크 계층에서도 동작한다. 허브 장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들은 통신을 할 수 없지만, 하나의 시스템이 장애가 발생해도 전체 시스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리피터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더미허브, 지능형 허브, 스위치 허브 등이 있으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더미허브 10Mbps 대역폭을 가진 허브에 5대의 시스템을 연결하면 5대의 시스템이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한다. 시스템의 수가 증가할 수록 성능이 떨어진다.

  2. 지능형 허브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되어 있고 포트에 연결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3. 스위치 허브 스위칭 기능이 추가되어 있어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여러 개의 포트에서 입력을 받고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브리지(Bridge)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말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송신 및 수신되는 프레임을 검사한다. 보통 네트워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서로 다른 물리적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넷과 토큰링 네트워크같이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리지를 통해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브리지는 하드웨어 주소인 MAC 주소로 관리된다. 또 입력 신호를 출력으로 전송하는 포워딩기능 또한 수행하며 목적지 MAC 주소를 읽어 필터링을 수행한다.

스위치(Switch)

스위치는 허브와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스위치는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향상되었으며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목적지의 포트로 직접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효율이 향상되었다. 스위칭 허브, 혹은 포트 스위칭 허브라고 불리며 송신자⇔수신자 노드를 일대일로 연결해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송신 및 수신 노드의 수가 증가해도 네트워크의 속도는 저하되지 않는다. 또 감청이 어렵다는 장점이 있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라우터(Router)

라우터는 인터네트워킹 장비로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읽어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이다. LAN과 LAN을 연결하며 TCP/IP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기적으로 라우팅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해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한다. 또 특정 IP로 유입되는 패킷이나 전송되는 패킷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브로드 캐스트를 차단하거나 입력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패킷을 출력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포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는 route 명령어를 통해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에 변환을 수행해 프로토콜이 달라도 통신을 가능케 한다.

게이트웨이의 기능에는 메시지 변환, 프로토콜 변환, 주소 변환, 방화벽, 프록시 서버 등이 있으며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메시지 변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포맷 형식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ASCII Code로 작성된 메시지를 EBCDIC코드로 변환한다.

  2. 프로토콜 변환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과 ATM 프로토콜 간의 상호변환을 수행한다.

  3. 주소 변환 서로 다른 주소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Ipv4와 Ipv6 간 변환을 수행한다.

  4. 방화벽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패킷 필터링과 같은 방화벽 역할을 수행한다.

  5. 프록시 서버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프록시 서버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로 접근한다.

댓글남기기